본문 바로가기

ITNEWS/프로그래밍언어

프로그래밍 초보는 기초와 경험이 중요하다.







프로그래밍 초보를 위한 조언




4차산업혁명을 비롯한 미래 비전성

혹은 SW교육 의무화를 대비하기 

위한 기초 프로그래밍 과정

혹은 취업을 위해서 이제 초보티를

내며 프로그래밍을 배우는 사람들,



각자 이유와 목적은 다르지만

처음부터 잘하는 사람은 없기에

초보딱지를 달고 시작합니다.

이번엔 그런 초보자들을 위한

기초와 경험에 대한 중요성.

관련 안내 시작하겠습니다.
























1. 무엇을 만들고 싶은지?



프로그래밍 언어를 비롯한 교육과정은

툴(TOOL)을 다루고 활용하는 교육입니다.



그 자체를 배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장기적으로

교육을 받고 공부를 하는 이유는 배운것을

활용해서 제작하고 개발하기 위한 과정입니다.



따라서 프로그래밍을 통해 내가 만들고 싶은

결과물, 제작물을 알아보고 고민해봐야합니다.



그래서 내가 만들고 싶은 작품을 위해서

필요한 내용을 정리하고, 어떻게 배울지

알아보는 사전단계를 강조하는 것입니다.



























2. 다양한 경험은 당신의 자산



프로그래밍을 하면서 오류나 디버깅은

분명 피하고 싶은 사항이지만 오히려

초보 시절에 겪는 디버깅이 훨씬 좋습니다.



단순히 디버깅이 걸렸네? 라는 생각보단

왜 이런 결과가 나왔을까 생각하고 원인을

찾는 습관을 길러주어야 하는 시기입니다.



따라서 다양하게 접해보고 다른사람이

구현해놓은 오픈소스를 비교해보면서

많은 경험을 쌓아보아야 하는 것이죠.



또한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접해보며

내가 자신있게 구사할 수 있는 언어,

자신있게 사용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하나하나 만들어가는 것이 초보시절 과제입니다.



























3. 기초 = 기반



기초없이 심화도 없습니다.



축구에서 기본적인 볼 컨트롤이 안되면

이후 패스나 슈팅을 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경기에서 활약할 수도 없을 것입니다.



체력이 안된다면 실력을 보여주는 수준이

아니라 아예 경기를 뛸수 없을 것입니다.



프로그래밍도 마찬가지입니다. 입문

혹은 초보시절에는 시간이 조금 더

걸리더라도 탄탄한 기초를 만들어두세요.


























4. 단순하게 생각해야 한다.



프로그래머들 사이에서 말하는 소위

"예쁜 코드"

는 대부분 간결하고 깔끔한 코딩과정입니다.


많은 수식이나 함수를 적용시키지

않더라도 간결하게 작동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라는 소리입니다.


처음에는 정말 어렵고 힘들겠지만

습관과 연습이 뒷받침 되어야 합니다.
























초보딱지를 떼는 것, 프로그래밍 과정이

아니라도 시간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많이 부딪쳐 보고, 많이 깨져볼수록

실력이 느는 것은 알고 있지만 잘

안되는 과정이겠죠. 그래도 조금씩

성장하고 발전해나가면 좋은 결과는

분명히 따라올 것이랍니다.



프로그래밍 관련 교육이나 상담도

진행하고 있으니 더 궁금한 사항은

아래사진을 클릭하면 오픈채팅방 연결됩니다.